Table of Contents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정보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경제는 어려운데 전기요금 등 공과금 비용이 올라서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분들이 많습니다.
정부는 에너지 비용이 오르는 현 상황에서 소상공인을 위해 전기요금을 최대 20만원을 감면해주고 있습니다.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에너지 비용으로 어려움을 겪ㄱ는 소상공인 분들을 대상으로 전기요금 비용을 경감하고자 해당 사업을 진행합니다.
직접계약자와 비계약자로 나눠 온라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지원 대상 조건
공고일 기준 영업 중에 있어야 하며, 연매출 3,000만원 이하이면서 사업장용 전기요금을 부담하는 개인 및 법인사업자 분들이 대상입니다.
- 공고일 기준 활동 해야 함
- 연매출 3,000만원 이하
- 사업장 전용 전기요금을 부담
- 개인 및 법인 사업자
* 활동 중
2023년 12월 31일 이전에 개업했고 공고일인 2024년 2월 15일 까지 폐업상태가 아니어야 합니다.
* 매출규모
공고일 기준 2022년 또는 2023년 부가가치세 신고매출액이 3,000만원 이하에 해당되어야 하고, 면세사업자의 경우 사업장현황신고서상 수입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또한 2023년에 개업한 경우에는 개업 이후 월 평균 매출액을 연으로 환산하여 계산하게 되며, 계산방식은 [개업 이후 월 평균 매출액 × 12개월] 입니다.

위 조건에 해당된다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2 지원 내용 및 금액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금액은 사업장 당 최대 20만원의 전기요금을 지원합니다.

업종 및 상시근로자는 제한이 없습니다.
1인이 다수 사업체(법인·개인 무관)의 대표라도 1곳만 지원이 가능하며, 공동대표가 운영하는 사업체는 신청대표 1인만 지원 가능합니다.
전기요금 계약종별 유형 및 예시는 위 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3 신청 구분 및 지원 방식
직접 계약자 사용자와 비계약 사용자로 나눠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직접계약자 사용자
한국전력(이하 구역전기사업자 포함)이 계약자 DB를 보유, 매월 전기 사용량 확인 및 요금 청구, 차감 관리 가능.
그러니까 신청자 및 사업체의 명의로 전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신청자 명의와 한국전력계약자 명의가 일치하는 경우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한전에서 계약자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매월 전기 사용략 확인 및 요금 청구 등 관리가 가능한 상태로 별도 서류 제출 없이 신청자 정보 입력하면 신청이 됩니다.
선정 대상자 통보 후 최초 발행하는 전기요금 고지서상의 요금이 최대 20만원까지 차감됩니다.
비계약 사용자
한전과 계약 관계가 없는 경우입니다.
전기요금 계약 주소지와 사업장 주소지가 일치하지만 명의가 본인이 아닌 타인인 경우 비계약 사용자로 구분됩니다.
이이때 신청자 정보 입력 후 추가 제출 서류를 필요로 합니다.
- 타인 명의 : 전기요금 고지서
- 사무소 등 별도관리 : 관리비 고지서 사본
- 기타(자율관리) : 전기요금 납부 확인서
대상자로 선정된 경우 2023년 1월 ~ 2024년 납부요금에 대해 최대 20만원까지 사업자 대표 계좌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4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신청 방법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신청 방법은 해당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시 본인인증을 해야 합니다.
① 신청기간
– 직접계약자 : 2024년 2월 21일 ~ 2024년 4월 20일
– 비계약자 : 2024년 3월 4일 ~ 2024년 5월 3일
② 신청방법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신청 바로가기
1. 먼저 위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직접계약자 또는 비계약자를 선택하여 신청합니다.
3. 자가진단을 진행합니다.
4. 직접계약자의 경우 사업자등록번호와 한전고객번호를 입력하고, 비계약자 사용자의 경우 사업자등록번호만 입력하여 안내에 따라 진행합니다.
5. 본인인증을 마지막으로 신청을 완료합니다.
③ 대상자선정
신청 후 한전과 국세청 등의 자료를 통해 여부를 확인하고 특별대상자를 선정하게 됩니다.
선정된다면 신청인의 SMS를 통해 통보 후 안내에 따라 환급받게 됩니다.